관광지에서 왕릉을 찾는 일은 별로로 반기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모두가 거의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왕릉에 대한 정보를 조금만이라도 갖고 살펴보면
왕릉에 얽힌 문화적 관습과 기록 등의 인문적 가치를 폭넓게 얻을 수 있다.
왕릉을 찾게 되면 왕릉에대한 초보적인 상식을 갖고 있어도 문화해설사의 도움을 받기를 권하고 싶다.
보통 여주에서 영릉하면 세종대왕릉만을 생각하기 쉬운데 여기엔
조선조 4대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를 합장한 영릉[英陵]과
제17대 효종과 비 인선왕후 장씨 영릉[寧陵]이 있다.
오늘은 세종의 영릉[英陵]을 주로 봤다.
세조대왕릉(英陵)
세종대왕릉을 찾으면서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은 세종대왕께서는 오늘 날에 컴퓨터 세상이 올 것을 알았을까?
반문하면서 자판을 칠 때마다 세종대왕의 위대함에 감사를 보낸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비롯해서 과학기구의 연구, 음악의 진흥, 육진개척, 일본과의 외교,
불교의 진흥 등 수없는 업적이 있지만 한글의 우수성은 유네스코에서도 인정한 자랑스러운 한글이다.
금천교
능 앞으로 흐르는 개울을 높이 일컬어 어구(御溝) 또는 금천(禁川)이라 하고 여기에 놓인 다리를 금천교라 한다.
금천교는 홍살문 앞에 설치한다.
금천교는 임금의 혼령이 머무는 신성한 영역임을 나타내기도 하며,
풍수지리설로는 능의 기운이 나아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단다.
홍살문(紅箭門)
신성한 곳을 알리는 붉은색을 칠한 나무로 된 문이다.
능묘나 궁전, 관아등의 건물 앞에서 볼 수 있다.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의 길을 참도(참례하러가는 길)라 한다.
임금은 오른쪽 길로 드나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도(御道) 임금이 통행하는 도로(道路).
민간의 묘에는 제물을 놓는 상인데
왕의 묘는 제물은 정자각에있고 이곳은 영혼이 나와서 놀거나 쉬는 곳이다.
제사를 지내면 혼령은 정자각 뒤의 신교(神橋)를 건너 봉붕으로 올라가
혼유석에서 후손을 바라 볼수 있는 것으로 어쩌면 쓸쓸한.......
문인석(文人石)과 무인석(武人石)
문인석(文人石) 왕명을 복종한다는 의미로 홀(임금을 만날 때 지니는 믈건)을 지니고 있는 석물
무인석보다 봉분 가까운 곳에있다.
무인석(武人石) 왕을 호위하는 무관을 형상화한 석물이다.
홀을 지나고 있는 문인석
칼을 지니고 있는 무인석
문화해설사의 설명을 귀기울여....
세종대왕릉에서 바라본 모습
조선왕릉의 상설제도 (문화재청 조선왕릉에서)
핸드폰에 저장하면 왕릉 탐방시에 좋은 자료이기에....
조선왕릉 세계유산 등재
조선왕릉 40기가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유네스코는 조선왕릉의 유교적, 풍수적 전통을 근간으로 한 독특한 건축과 조경양식, 제례의식 등을 높이 평가했다.
우리의 자랑거리 우리들이 잘 알있어야 하며 또 보전으로 후손에 물려주어야겠다.
혼상
하늘의 별들을 보이는 위치 그대로 둥근 구면에 표시한 천문기기이다.
별이 뜨고 지는것, 계절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을 측정할 수 있단다.
간의 : 고도와 방위, 낮과 밤의 시간 측정에 쓰인
조선시대 천문관측기기들 중 하나로 오늘날 각도기의 각도기와 비슷하다.
소간의 : 적도를 기준으로 하여 천체들의 자리를 관측하는 천문관측기구
천평일구(해시계 중의 하나)
현주일구 : 휴대용 해시계
앙부일구 : 오목해시계
혼천의 : 천체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여 천문시계의 역할을 한 기구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설명하는 문화해설사
별자리의 위치와 크기를 사실적으로 그린 천문도이다.
세종대왕동상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뒷면으로 별자리가 그려져 있다.
정남일구 : 해시계 가운데 가장 정밀한 종류의 것이다.
자격루[自擊漏 ] : 자동으로 시보를 알려주는 장치가 되어 있는 물시계